[살며 사랑하며]자기반성은 내면을 점검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살며 사랑하며]자기반성은 내면을 점검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 임길자
  • 승인 2019.08.04 23:5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임길자〈정토마을 원장〉
△ 임길자〈정토마을 원장〉

공자의 제자 중 효행으로 유명한 증자(曾子 중국 전국 시대의 유가(儒家) 사상가)는 일일삼성(一日三省)을 강조하였는데, 하루에 세 번씩 자신의 행동을 반성한다는 뜻이다. 증자는 일일삼성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나는 매일 나 자신에 대하여 세 가지를 반성한다. 첫째는 남을 도와주면서 진심으로 성실하게 도와주었는가? 둘째는 친구들과 사귀는데 신의 없는 행동을 한 적이 있는가? 셋째는 스승으로부터 배운 것을 제대로 익히고 활용했는가?” 자신의 행위를 스스로 반성하는 일은 용기가 필요하다.

프랑스의 위대한 사상가 루소(프랑스 계몽기의 사상가이자 작가)는 소년 시절 도둑질을 하고 여자 하인에게 누명을 씌웠다. 착한여자 하인은 아무 말도 못하고 이 일로 억울하게 주인에게 해고를 당했다. 그 후 루소는 자신의 비열한 행동을 탓하며 괴로워했다. 그는 잠 못 이루며 괴로워하던 어느 날 밤, 그 하인이 자신을 비난하는 환영(幻影)을 보았는데 너무도 생생해 방금 전에 나쁜 짓을 한 것 같은 착각이 들었다고 했다. 루소는 자신의 유명한 저서 '참회록'에서 자신을 철저하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는 자신이 어린 시절 저지른 잘못을 비열한 것으로 간주하고, 평생 죄책감에 시달리게 했던 그때 일을 다른 사람들에게 털어놓았다. 자신의 잘못을 참회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거리낌 없이 보여준 것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기에 앞서 먼저 남을 원망하고 주위 환경을 탓한다. 다른 사람이 고의로 방해해서, 자신에게 실력을 발휘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아서, 또는 때가 무르익지 않아서 자신이 실패했다고 생각한다. 그런 태도는 자기반성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많은 기회를 놓치게 만든다. 예전에 할머니께서 가끔 쓰시던 속담이 생각난다.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를 나무란다"라고...

자기 얼굴을 자기가 볼 수 없어서 우린 다른 사람의 눈을 통해 자신을 반추(反芻)한다. 사람은 누구나 완전할 수 없기에 누군가를 만나고, 그 누군가와 착한 에너지를 나누며, ‘더불어 함께라는 길을 동행한다. 더러는 내가 먼저 곁을 내어주고, 더러는 내가 먼저 몸을 써 주고, 또 더러는 부족한 서로를 알아차리며 채워가는 것이 인생이다. ‘내 생각이, 내 말이, 나의 행동이 옳다라는 프레임(frame)에 갇혀있는 한, 그의 인생은 건강할 수 없다. 사사건건 남만을 탓하고 자신의 문제를 살피지 않는 한, 그 안에 변화와 성장은 있을 수 없다.

오랜 세월 다른 공간에서 다른 모양으로 세상을 읽으며 살던 사람들이 '(직업)' 때문에 같은 공간에 어울려 생활하다보면 자신의 의도와 상관없이 불편한 관계와 맞닥뜨리게 된다. 그렇다보니 집단속에서는 언제나 갈등과 반목(反目)이 존재하게 마련이다. 이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조직(組織)의 생리(生理)이기도 하다. 내 마음을 나도 잘 모르겠어서 혼란스러울 때가 있는데, 다른 사람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이해한다는 건 매우 어려운 일이다. 내 마음이 날마다 흔들리듯이 상대방의 마음도 그럴 수 있으니, 그 알아차림의 경계는 영적(靈的) 공간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건 내 마음상태가 어떠냐에 따라 상대방이 다르게 보인다는 것이다. 상대방을 탓하기 보다는 내 마음을 순조롭게 가꾸어 가는 것이 우선(于先)’ 이라고 본다.

자신을 반성하는 사람은 어떤 상황에서도 분노로 인격을 상실하지 않고, 재물에 의지가 흔들리지 않으며, 의심으로 이성이 마비되지 않는다. 자기반성은 자신의 내면을 점검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러한 연습이 몸에 배면 삶의 지혜가 생기고,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헐렁했던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도 얻게 된다. 따라서 주변 사람들로부터 인격을 갖춘 사람으로 인정받기도 하고, 어떤 시련 앞에서도 길() 풀이가 현명해 진다.

행복한 하루를 사는 건, 순전히 자신의 몫이다.

긍정적으로 사고한다는 건, 행복을 부르는 행위다.

누군가를 배려하고 이해한다는 건, 행복을 채우는 행위다.

상대방의 부족함을 보듬는다는 건, 행복을 실천하는 행위다.

나이를 먹는다는 건 거듭되는 변화 속에서 온전하게 여물어 간다는 것이다.

30대보다는 40대가 더 아름다워야 하고, 40대보다는 50대가 더 깊어야 하고,

50대보다는 60대가 더 넓어야 한다.

가짜뉴스로 판을 치고 있는 요즈음! 생각이 건강한 어른으로 농익어 갑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홍사천 2019-08-05 14:38:05
임길자 원장님!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늘 행복한 날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