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칼럼]생활권 중심의 지역발전 전략 필요할 때
[문화칼럼]생활권 중심의 지역발전 전략 필요할 때
  • 전영철
  • 승인 2019.10.27 21: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영철(원주시 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장)
△전영철(원주시 창의문화도시지원센터장)

원주에 와서 외부방문객들이 놀라는 점이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표준어에 가까운 서울말씨를 쓰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왜 가능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한강수계권으로 댐이 없었던 옛날에는 한강을 따라 한양의 문화와 물건들이 오갔기 때문에 서울의 영향권에 있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남한강을 따라 북원문화권이 융성했고 중원문화권의 충주와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지형에서 기인한 특성 때문에 원주는 옛날부터 배타성이 없고 남을 포용하는 도시의 성격을 가져왔던 것이다. 이런 연유로 고려시대에는 왕실의 불교사찰이 존재했고, 조선시대에는 강원감영이 입지하는 교통과 행정의 요충지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현대에 와서 원주는 통신회사 및 보험회사의 콜 센터가 입지하여 중요한 일자리를 만들기도 하고 있다.

현대에 와서 댐이 들어서서 물길을 막고 자연스런 물길을 통한 문화의 교류도 사라졌다. 또한 지자체 중심의 행정중심주의 사고 때문에 인접 지역과의 협력사업도 인위적으로 시도하지 않으면 힘들게 되었다. 하지만 쉬운 예로 관광객들은 시군 경계를 넘나들며 자연스럽게 관광행동을 하게 된다. 유럽에서는 국경도 큰 의미가 없는 세상이다. 하지만 우리의 유연하지 못한 사고는 아쉬움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일본은 행정체계 개편을 통해 현 단위로 행정체계를 개편하였고 인접 기초단위의 시() () 통합을 통해 행정의 효율화를 기해왔다. 우리도 행정체계 개편에 대한 논의는 오래전부터 있어왔지만 정작 진도는 나가지 못하고 있다. 그러한 찰나 농촌이나 산촌에 위치한 기초자치단체의 인구감소는 출생률 감소와 함께 두드러지게 나오고 있고 언제부터인가 지역소멸론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기에 생활권을 중심으로 한 상생의 방안이 더욱 더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문화공유전달정보시스템을 통해 원주의 공연을 인접 지자체인 횡성의 주민이 손쉽게 스마트폰 앱을 통해서나 다양한 전달체계를 통해 전달받고, 거꾸로 원주에 사는 사람은 영월 동강축제 소식을 실시간으로 받아 주말 나들이를 간다면 생활권의 활력은 다시금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인구에 비해 면적이 넓은 강원도에서의 이러한 전략은 새로운 선택지일수 있을 것이다.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는 이러한 인접 지자체간 교류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권유해 왔고 몇몇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성과를 가져왔다. 예를 들어 원주에서 화장장을 건립하여 여주시와 함께 쓰고 여주시는 건립비용을 공동으로 분담한다든지 하는 가시적인 성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10여 년 전에 원주횡성문화정보센터 카나비는 원주횡성의 각종 문화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양 지역에 사는 문화예술인 데이터베이스, 문화예술행사나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전달해 전국적인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

이러한 일은 이제 더욱 쉬운 세계에 살게 되었다. 바로 스마트 폰의 보급으로 마음만 먹으면 생중계까지 가능한 세계에 살게 되었다. 어찌되었건 강원권은 지금 현재 세도시가 문화도시를 추진하고 있다. 영서북부권의 춘천, 영서남부권의 원주, 영동권의 강릉이다. 여기에 속초도 방향을 탐색하고 있다는 이야기가 들리고 있다. 이 도시들이 각각의 생활권에서 좀 더 넓은 관점에서 문화적인 교류를 확대해 가야 지역소멸시대를 막는 장치로서 문화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는 빠르게 변화해 가고 있다. 그리고 지역을 뛰어 넘어 세계 어느 도시나 지역하고도 교류를 하고 있다. 이런 세상에 바로 인접지역과 문화적인 정보망이 구비가 안된다면 경제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아쉬울 수밖에 없다. 이제 생활권 중심으로 지역상생발전전략을 다시금 세우고 지역을 살펴야 할 시기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